빗자루병(Jujube witches’broom)
병 징
- 처음 가지의 끝부분에 작은 잎과 잔가지가 촘촘히 발생한다.
- 1∼2년 사이 나무 전체로 퍼지며, 촘촘한 잎줄기가 모아져 빗자루 모양이 된다.
- 꽃눈이 잎으로 나와 개화 결실이 안되며, 심하면 2∼3년 내 고사한다.
그림 1. 빗자루병 병징




병원체
- Phytoplasma의 일종인 Candidatus Phytoplasma ziziphi로 마이코플라즈마과에 속하는 세균의 일종으로 0.3∼1.0㎛ 크기이다.
- 세포벽이 없는 다형성 원핵생물로 식물체의 체관에서 기생하며 살아있는 조직에서만 생존한다.
- 기주식물은 대추나무 외 뽕나무, 쥐똥나무, 일일초 등이 있다.
발병특성
- 빗자루병은 매개충과 접목, 분주묘에 의해 전염된다.
- 매개충은 병든 식물체 잎의 즙액을 빨아들이는 매미충류이며, 모무늬매미충과 마름무늬매미충이 있다.
- 빗자루병은 전신성병으로 감염된 나무 전체의 모든 체관에 병원체가 존재하므로 감염된 나무에서 채취한 접수와 분주묘에는 병원체가 그대로 전염되어 빗자루병이 발생하게 된다.
방제방법
- 빗자루병에 감염되지 않은 건전한 묘목을 사용한다.
- 심하게 병든 나무는 캐내어 소각한다.
- 매개충인 매미충류를 방제한다. 방제 시기는 6월 중순에서 8월 중순이다.
- 발생이 심하지 않으면 옥시테트라사이클린을 수간 주사한다
(가칭)세균열매썩음병(Bactreial fruit rot)
병 징
- 처음 과실 표면에 수침상의 갈색 또는 검은색 반점이 생기며, 진갈색 또는 적갈색으로 확대된다. 진행되면 움푹파이고, 과실 내부가 진갈색으로 변한다.
- 잎에는 달무리를 가진 다각형 또는 원형의 반점이 생긴다. 진행되면 병든 부위가 탈락되어 구멍이 생기기도 한다.
그림 2. (가칭)세균열매썩음병 병징




병원체
- 병원균 : Xanthomonas arboricola
- 그람음성세균으로 하나의 단극모를 가지고 있는 짧은 간균으로 생육온도는 35∼39℃이다.
발병특성
- 6월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며, 기공이나 바람, 해충 등에 의한 작은 상처를 통하여 병원균이 칩입하여 발생한다.
- 대추나무에서의 월동방법, 1차 전염원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방제방법
- 작은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칩입하므로 상습적으로 발생하는 포장에는 방풍림을 설치한다.
- 병든 식물체는 제거하고, 배수 및 균형시비를 철저히 한다.
- 월동 직후 석회유황합제를 살포하고, 생육기에는 등록된 항생제류를 살포한다.
- 대추세균열매썩음병 등록 약제 : 바실러스서브틸리스큐에스티713수화제, 스트렙토마이신
탄저병
병 징
- 개화기부터 발생하며, 꽃에 흑갈색 그을음이 생기면서 갈변하고 낙화된다.
- 어린과실에 발생하면 과실 전체가 갈변하고 낙과된다. 과실에는 흑갈색 작은 반점이 생기고, 진전되면 함몰되고 심해지면 과실 전체가 쭈글해 지기도 한다.
- 병든 부위가 커지면 겹둥근무늬가 생기며, 다습한 환경에서는 병든 부위 중앙에 담황색의 포자 덩어리가 생기기도 한다.
- 대추 잎에는 연갈색-흑갈색의 원형 반점이 생긴다
그림 4. 탄저병 병징






병원체
- 병원균 :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 진균계 자낭균문에 속하며, 주로 분생포자를 형성한다. 분생포자는 무색, 단세포이며 장타원형으로 크기는 12∼20×4∼6㎛이다. 생육 온도 범위는 10∼35℃이고, 생육적온은 26∼28℃이다.
발병특성
- 병원균은 병든 과실과 어린 가지에서 월동하고 1차 전염원이 된다.
- 비에 의하여 전반되어 감염이 시작된다.
방제방법
- 대추 개화기에 비가 많이 올 경우 급격히 번질 우려가 있으므로 노지재배나 비가림재배시 비를 맞는 위치에 있는 대추는 개화기부터 탄저병 약제를 살포한다.
- 병든 과실과 잔가지는 전염원이 되므로 포장에서 제거한다.
- 대추탄저병은 비바람에 의해 전반되므로 비온 후 약제 방제 실시한다.
- 대추탄저병 방제용 등록 약제: 디페노코나졸 디티아논입상수화제, 디티아논 피라클로스트로빈유현탁제, 디페노코나졸 티오파네이트메틸 액상수화제, 카벤다짐 클로로탈로닐액상수호제, 보스칼리드 피라클로스트로빈입상수화제, 티오파네이트메틸수화제, 테부코나졸수화제, 피라클로스트로빈입상수화제
(가칭)대추나무잎혹파리
병 징
- 학명 : Dasineura sp.
- 형태 : 유충(어린벌레)은 2∼3mm로 매우 작고 우유빛을 띄며 성충(어른벌레)은 더듬이가 짧고 몸에 비하여 다리가 길다.
발병특성
- 토양에서 월동 후 5월 초중순경 성충(어른벌레)이 되어 어린잎에 알을낳고 부화한 유충(어린벌레)이 잎을 흡즙한다.
- 연 4∼5회 발생하여 번식력이 크므로 초기방제가 매우 중요하다.
- 피해를 받은 잎은 가장자리부터 말려들어가며 갈색 또는 붉은색으로 변한다.
그림 5. 대추나무잎혹파리 피해




방제방법
- 피해 잎을 즉시 제거하여 소각하거나, 대추과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버린다.
- 대추에 대추나무잎혹파리로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대추에 등록 된 약제 중 클로르페나피르 액상수화제, 클로란트라닐리프롤·인독사카브 입상수화제,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등으로 방제가 가능하다.
- 방제약제 처리시 대추나무뿐만 아니라 토양에도 같이 살포하면, 성충으로 우화하려는 대추나무잎혹파리를 막을 수 있다.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 학명 : Apolygus spinolae
- 형태 : 성충의 경우 몸 길이가 4∼6mm이며 등쪽 날개 부분에 검은 무늬가 있고 약충의 경우 성충과 달리 날개가 없고 몸 전체가 녹색을 띈다.
발병특성
- 대추의 어린잎이나, 과실을 구침으로 찔러 흡즙하여 피해를 준다.
- 피해 받은 잎은 위축되거나, 기형화되어 잎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으며, 과실의 경우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여 상품과율을 떨어뜨린다.
- 나무의 눈의 인편사이에 알을 낳아 알 상태로 월동을 하며 4월 중순부터 부화를 시작하여 피해를 준다.
- 부화한 약충은 보호색을 띄어 있어 쉽게 관찰이 어렵다.
그림 6.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피해




방제방법
- 한번 피해를 받은 잎이나 과실은 회복이 어려우므로 피해가 발생하기 전인 대추나무의 발아 직 전·후 10일 간격으로 약제를 살포한다.
- 대추에 등록된 약제 중 노발루론액상수화제, 비펜트린유제, 에토펜프록스·인독사카브수화제, 비펜트린·메톡시페노자이드액상수화제를 처리 할 경우 방제가 가능하다.
박쥐나방
- 학명 : Endoclyta excrescens
- 형태 : 성충의 날개 편 길이는 80∼90mm이며, 몸 길이는 34∼45mm 이다. 노숙유충의 몸 길이는 80mm이고, 몸 색깔은 유백색을 띈다.
발병특성
- 1∼2년에 1회 발생을 하며, 1년 1회 발생을 할 경우 알로 월동을 하며, 2년 1회 발생을 할 경우 피해목 내부에서 유충으로 월동한다.
- 성충은 8∼10월 사이에 우화하고 수명은 6∼12일이며, 알은 지면에 낳으며, 그 수가 5,000개 내외로 산란수가 매우 많다.
- 알은 5월에 부화하여 어린 유충이 초본식물을 가해하여 성장 후 6∼7월 나무로 이동한다.
그림 7. 박쥐나방 피해




방제방법
- 피해 구멍에 약제를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주입하거나, 철사 등을 이용해 찔러 죽인다.
- 유충 부화시기인 5월에 약제를 지면에 살포한다.
- 어린 유충은 나무를 가해 하기 전 초본 식물을 가해하므로 잡초관리를 철저히 한다.
- 대추에 박쥐나방 방제용으로 등록된 약제는 없으나, 잎말이나방에 등록되어 있는 노발루론액상수화제, 루페뉴론유제, 비펜트린유제, 메톡시페노자이드 액상수화제 등을 처리하면 방제가 가능하다.
응애류
- 대추에는 주로 점박이응애와 사과응애가 발생을 한다.
- 형태 : 몸 길이가 0.3∼0.5mm 정도로 그 크기가 매우 작아 육안으로 관찰이 힘들다.
발병특성
- 약충과 성충이 모두 식물을 가해하며, 잎에서 즙액을 흡즙하여 엽록소가 파괴되고 잎에 흰색 반점이 생긴다.
- 연 8∼10회 발생 할 정도로 생활사가 매우 빨라 동일약제 처리 시 저항성 습득이 매우 빠르므로, 동일약제 연속 사용은 절대 금물이다.
-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을수록 짧으나, 27℃정도가 응애 생육에 가장 적합하다.
- 수피, 잡초, 낙엽 등에서 월동을 하며 주로 4∼5월부터 발생이 시작 된다.
그림 8. 응애류 피해




방제방법
- 전년도 피해가 심했거나, 월동 밀도가 높은 농가에서는 발아전 기계유유제를 살포 한다.
- 증식 능력이 높으므로 잎당 1∼2개체 발견시 응애 전용 약제를 살포 한다.
- 저항성 습득력이 매우 높으므로, 응애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예방적으로 살포하는 것을 지양하고 응애 발생시 계통이 다른 약제를 번갈아가며 사용한다.
복숭아심식나방
- 학명 : Carposina sasakii
- 형태 : 성충의 몸 길이는 7∼8mm이고 앞날개는 회백색이다. 유충의 경우 성장이 거의 이루어지면 몸 길이가 12∼15mm 정도이며, 색은 분홍색을 띈다.
발병특성
- 과실이나 꽃받침 등에 산란을 하며, 알에서 부화 한 유충이 과실속을 파고 들어 피해를 주며, 한번 침입하면 방제가 쉽지 않다.
- 대부분 연 2회 발생하나 지역적 기후 특성에 따라 1회 또는 3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 노숙유충으로 땅속에서 월동을 하며 5월부터 월동을 끝내고 나오기 시작한다.
- 피해를 받은 과실은 조기 착색되며, 쉽게 낙과된다
그림 9. 복숭아심식나방 피해



방제방법
- 피해를 받은 과실은 제거하여 물에 담구어 유충을 죽여야 다음해에 발생하는 피해를 줄일 수 있다.
- 방제시기는 복숭아심식나방이 발생하는 기간 동안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지만 특히 부화 후 침입이 많이 이루어지는 7월 하순∼8월 상순에는 집중적으로 방제를 실시해야 한다.
- 현재 대추에 복숭아심식나방에 등록되어 있는 약제는 없으나, 잎말이나방에 등록되어 있는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가 가능하다.
복숭아유리나방
- 학명 : Synanthedon bicingulata
- 형태 : 성충의 몸 길이는 15mm이며, 배에 두 줄의 노란 띠를 가지고 있다. 날개가 투명하고, 벌을 의태하였다
방제방법
- 피해 구멍 발견시 주사기를 이용해 약제를 주입하거나, 철사를 이용해 찔러 죽인다.
- 방제시기는 복숭아유리나방이 발생되는 동안 꾸준히 이루어져야 하지만, 6월 하순 ∼7월 상순, 9월 하순∼10월 상순에는 줄기에 약제가 흐르도록 살포한다.
- 현재 대추에 복숭아유리나방에 등록되어 있는 약제는 없으나, 잎말이나방에 등록되어 있는 약제를 살포하면 방제가 가능하다.
그림 10. 복숭아유리나방

콩꼬투리혹파리
- 학명 : Asphondylia yushimai
- 형태 : 유충은 유백색이며, 성장을 다하면 몸길이가 약 3mm정도이며, 성충은 3∼4mm 정도 이다.
발병특성
- 산란관을 이용하여 과실 내부에 산란을 하며, 부화한 애벌레가 과실을 가해하여 발육장애로 인한 기형과를 유발 시킨다.
- 내부에서 섭식 활동을 통해 성장 후 번데기 고치를 표면에 걸쳐두고 우화한다.
- 기존에 콩에서 발생하던 해충으로 대추에서는 2015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그림 11. 콩꼬투리흑파리 피해



방제방법
- 발생을 시작하는 7월 상순에 대추에 등록된 약제 중 에토펜프록스를 살포하여 산란을 막아준다.
- 피해를 받은 과실은 발견 즉시 제거하여 물에 담구거나, 대추 포장과 멀리 떨어진 곳에 버려야 2차 피해를 막을 수 있다
- 정보담당자
- 대추연구소 > 환경이용팀 > 오하경 (☎ 043-220-5805)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북도농업기술원이 소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