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마늘의 기원

홈으로 > 특화작목연구소 > 마늘연구소 > 마늘재배 > 마늘의 기원
  • 현재페이지 프린트
  • 현재 페이지 URL 복사

마늘의 내력

마늘은 백합과(百合科) 파속에 속하는 인경채소로서 학명은 Allium sativum L.이며, 영명(英名)은 Garlic, 한명(漢名)은 대산(大蒜) 또는 호(葫)라한다. 마늘의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 추측되며 우리나라에도 산마늘이 있었는데 오늘날에 보는 큰마늘은 기원전 1∼2세기경 진(晋)나라의 장화(長華)가 쓴 박물지(博物誌)와 한나라의 장건의 호지(胡地:西域)에서 마늘(蒜)의 큰 것을 가져왔다는 기록이 있으며 그래서 호산(胡蒜)또는 대산(大蒜)이라 불려지고 있다.

마늘에 대한 역사적 기록으로는 기원전 4,000년경 이집트가 거대한 피라밋을 건설하면서 이에 종사한 노동자들에게 마늘과 양파, 무 등을 먹이는데 소요되는 경비기록을 피라밋 벽에 기록으로 남겼으며 또한 오늘날 고대 이집트의 무덤에서 마늘이 발견되고 있다.

성경의 민수기(구약) 11장 5절 이하에 애굽에서 노예생활을 하다 가나안 땅으로 가던 이스라엘 백성이 40년간 광야에서 방황할 때 애굽에서 오이, 마늘, 부추 등을 먹고 살던 것을 생각하며 정력이 쇠해졌다고 원망하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는 삼국유사에 곰과 호랑이가 한 동굴 속에 살면서 환웅(桓雄)께 사람으로 환생케 해 달라고 빌었더니 환웅께서 신령스러운 풀인 마늘(蒜) 20통과 쑥 한자루를 내리면서 "이것은 먹고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되리라"고 하였는데 호랑이는 이를 지키지 못했으나 곰은 그대로 지켜서 21일만에 웅녀(熊女)가 되었다는 건국 신화에서 알 수 있듯이 마늘은 우리민족의 역사와 함께 한 식품이다.

통일신라 시대에는 입추(立秋) 후 해일(亥日)에 마늘밭에 후농제(後農祭)를 지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시대에 이미 약용, 식용식물로 우대 받았음을 알 수 있다.고려사 열전 조준 전(高麗史列傳趙浚傳)에는" 무릇 제사에 참례하는 자는 술을 마시지 않고 훈(?)을 먹지아니하기를 4일간이나 하니 이를 산제(散齋)라고 한다”는 것이다. 이때부터 오늘날까지 제사에는 마늘, 파같은 귀신을 쫓는다고 믿었던 양념들을 음식에 넣지 않는 풍속이 남게 된 것이다. 고려 때는 고추가 아직 들어오지 않았던 시기였으므로 김치라는 식품을 채소에 소금과 마늘 또는 소금과 생강만으로 담궜다고 기록되어 있다.

1527년에 최세진(崔世珍)이 편찬한 훈몽자회(訓蒙字會)에서는 산(蒜, 胡蒜)은 마늘, 소산(小蒜)은 달래라하였고, 1613년에 허준(許浚)이 편찬한 동의보감(東醫寶鑑)에서는 대산(大蒜)은 마늘, 소산(小蒜)은 족지,야산(野蒜)은 달랑괴라 하였다. 1830년경에 유희(柳僖)가 편찬한 물명고(物名考)에는 소산(小蒜)은 마늘,산산(山蒜)은 족지로 기록되어 있으며, 1870년경 황필수(黃泌秀)가 엮은 명물기략(名物記略)에서는 대산(大 蒜)은 마늘, 소산(小蒜)은 족지라 하였다. 이와 같이 사람에 따라 호칭의 내용이 다르고 국어사전에 족지는 산달래라고 하고 있으나 분명하지 않다. 조선농회보(朝鮮農會報, 1930)에는 재배품종으로 마늘(蒜)과 오랑캐마늘 호호(胡葫)의 기록이 있는데 마늘은 소형종, 오랑캐마늘은 대형종으로 명명하는 것이 좋겠다는 기록이 있다.

이상의 기록에서 추정해 보면 마늘구의 인편수가 많고 구의 크기가 작은 계통과 인편수가 작고 구가 큰 계통이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는데 대형종인 오랑캐마늘은 외국의 도입종으로 추정된다. 마늘이 1960년에 이르러 생태형에 맞게 지역별로 한지형과 난지형으로 재배되었고 굵은 마늘이 생산되었다. 한지형은 내륙지방에, 난지형은 경남 방어진의 해안지방, 남해안 연안 이남의 도서지방, 옥구군의 해안지대 및 제주도에서재배되었다.

재래마늘 중 한지형 지역에 속하는 주산지로서는 삼척, 단양, 서산, 영덕, 의성, 함양, 울릉도로서 완전추대계통과 불완전추대 계통이 있었다. 난지형 재배지대의 주산지로서는 고흥(고흥백마늘, 고흥적마늘), 완도, 목포, 제주, 남해(남해백마늘)등지로서 특색 있는 재래종으로 품질이 우수했고 매운 맛이 강했다. 그리고완전 추대성으로 화경이 길게 신장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1970년 중반기 이후 여러 차례의 마늘 흉작으로 인한 마늘파동을 겪는 동안 외국 품종의 도입으로 재래종의재배가 위축되어 왔는데, 특히 난지형마늘의 재배지대와 남중부의 일부지방에서는 대부분 도입 마늘을재배하고 있다. 남도마늘(上海 早生, 嘉定白)이 제주도와 남해안 연안지대 및 남부내륙지대까지 석권하고 있는 실정이며,대서마늘은 중부이남의 일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그림 1>

이들 마늘은 수량성은 높으나 저장성이 낮고 마늘의 품질면에서 재래종에 비해 떨어지므로 재래종의 유지·보존과 더 나아가 개량이 시급하다 하겠다.

난지형 마 늘의 재배 지대가 1970년 이전까지는 동해안에서는 경남 방어진의 해안지대 이남, 서해안에서는전북 옥구군의 해안 지대 이남, 남해안 연안 이남의 도서지방 그리고 제주도에서만 재배되었으나


난동(暖冬)과 재배기술의 향상으로 1980년대 이래 중남부의 내륙지방까지 난지형마늘이 북상하여 재배되고 있다. 최근들어 충남 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수량이 많고, 조기수확하는 난지형 마늘의 재배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내륙지방에서 난지형 마늘의 재배는 추위가 계속되는 해는 월동율이 떨어져 수량이 크게 감소되므로 그 지방의 기후 조건에 적응하는 마늘을 재배하는 것이 안전하다. 현재 각 지방에서 재배하는 재래종 마늘은 수십년 동안 그 지방에서 적응되고 살아남은 마늘이므로 그 지역 환경조건에 잘 맞도록 진화되어 왔고, 우리는 그것을 생태형(난지형, 한지형)품종이라 부르고 있다. 재래종은 그 지방 토종으로 선조가 우리에게 물려준자산이며, 또한 앞으로 후손에게 물려줄 유산이다. 외국에서 도입된 마늘이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지만 이것도 먼 훗날에는 우리 풍토에 맞는 마늘로 변화되거나 도태될 것이다.

[표1] 마늘과 기타 채소의 성분비교(가식부 100g당)
(표1)마늘과 기타 채소의 성분비교(가식부 100g당)
구분 성분 마늘 부추
탄수화물 에너지 138.0Kcal 27.0 19.0 20.0
수분 60.3g 91.6 93.1 92.4
단백질 8.4g 1.1 2.1 2.0
지질 0.1g 0.1 0.1 0.1
당질 28.7g 5.9 2.8 3.0
섬유 09.g 0.8 0.9 1.1
회분 1.6g 0.5 1.0 1.4
무기질 칼슘 150.0mg 47.0 50.0 210.0
200.0mg 20.0 32.0 42.0
철분 1.0mg 0.6 0.6 2.5
나트륨 6.0mg 1.0 1.0 39.0
비타민 비타민B1 0.21mg 0.04 0.06 0.07
비타민B2 0.11mg 0.06 0.19 0.13
니아신 0.9mg 0.3 0.6 0.4
비타민C 19.0mg 14.0 25.0 70.0

※ 자료 : 일본 식품 표준 분석표

마늘 건강요법

위궤양 : 쓰린 속, 위의 염증 마늘로 다스리세요

  • 마늘 1~2쪽을 갈아서 오블라토(큰 식품상에 가면 있음,만두피 사용가능)에 싸서 먹는다.
  • 반드시 식후에,물 2컵과 같이 마셔야 속이 쓰리지 않는다.
  • 3주 정도면 효과를 볼 수 있다.

방광염 : 몸을 따뜻하게, 방광염에도 효과 만점!

  • 마늘 1~2쪽을 갈아서 오브라토에 싸서 먹는다. 마늘장아찌도 함께 먹는다.
  • 위의 방법과 함께 허리까지 치는 더운물에 30분간 몸을 담근다.
  • 양 발바닥과 발끝 부분을 비누 묻힌 솔로 문지른다

치통 : 욱신욱신 치통, 씻은 듯이 통증이 사라져요

  • 충치를 찾아내 염증을 일으키는 구멍을 확인한다.
  • 강판에 간 마늘을 충치 구멍에 채운다.
  • 이때 성냥개비를 구부려 사용하면 편리하다.
  • 1분 후 입안을 씻어낸다. 단, 한번으로 통증이 사라진다.

대머리 : 대머리 고민도 마늘로 해결하세요

  • 마늘 한통 반을 까서 강판에 갈아 냉장고에 넣어둔다.
  • 거즈로 솜뭉치를 싸서 둥글게 만들어 놓는다.
  • 욕조 속에 들어가 몸을 푹 담가 따뜻하게 하면서 머리가 벗겨진 부분을 욕조물에 적신 타월로 뜨겁게 찜질한다.
  • 몸이 충분히 따뜻해지면 대야에 1/3정도로 물을 담아, 갈아놓은 마늘을 넣고 잘 휘저은 다음 만들어 놓은 솜뭉치를 적셔서 머리가 빠진 부위의 모근에 문지른다.
  • 3분 정도 문지르고 3분 정도 바람을 쏘인다.
  • 찬물에 비누를 사용해 머리를 깨끗이 씻는다.

무좀 : 잘 낫지 않는 무좀에도 마늘이 특효!

  • 무좀이 난 부위를 먼저 뜨거운 물로 깨끗이 씻고, 무좀이 생기지 않은 부위에는 바셀린을 바른다.
  • 마늘 1통을 강판에 갈아 무좀이 난 부위에 얹고 기름종이를 감느다.
  • 기름종이 위에 탈지면을 대고 타월로 감싼다. 증상이 심하면 2㎜, 아주 가벼운 곳은 1㎜ 정도로 얹는다.
  • 증상이 가벼울 경우 10~16분, 수포 증세에는 15~29분 정도 얹어둔다
정보담당자
마늘연구소 > 육종재배팀 > 이승주 (☎ 043-220-5832)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북도농업기술원이 소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