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2021. 5. 20
- 특화작목시험장 곤충종자보급센터를 곤충종자산업연구소,
포도연구소를 포도다래연구소, 마늘연구소를 마늘양파연구소,
수박연구소를 수박딸기연구소, 대추연구소를 대추호두연구소로
명칭변경(충청북도 조례 제 4263호)
2018. 10. 01
- 곤충종자보급센터 설립(충청북도 조례 제3922호)
2016. 05. 24
- 연구개발부를 연구개발국으로, 기술지원부를 기술지원국으로 승격(충청북도조례 제3915호)
- 유기농업연구소 설립(충청북도조례 제3915호)
2015. 01. 01
- 농업기술원 잠사시험장을 농산사업소 양잠보급과로 개편(충청북도조례 제3731호)
2014. 02. 07
- 와인연구소 설립 인가(충청북도조례 제3629호)
2011. 03. 25
- 연구개발부에 작물연구과, 원예연구과, 친환경연구과로 명칭변경(충청북도 조례 제3343호)
2011. 01. 01
- 대추연구소 설립 인가(충청북도 조례 제3322호)
2009. 05. 08
- 채소연구소를 수박연구소로 명칭변경(충청북도조례 3166호)
2008. 07. 01
- 시험연구부에 식량자원연구과, 원예생명연구과 및 친환경농업연구과로 명칭변경
- 기술지원부에 지원기획과, 기술보급과 및 농촌자원과로 명칭변경
- 시설농업연구소를 채소연구소로 명칭 변경
2006. 12. 22
- 농업기술원 과 및 시험장 명칭 변경
총무과 → 행정지원과, 옥천포도시험장 → 포도연구소 - 단양마늘시험장 → 마늘연구소, 음성시설농업시험장 → 시설농업연구소, 잠사균이시험장 → 잠사시험장
(충청북도 조례 제 2965호, 충청북도 훈령 제 1224호)
1990~
1998. 09. 11
- 충청북도농업기술원으로 개칭, 시험국 경영과 및 제천출장소 폐지 2부, 6과, 5시험장 (잠사균이시험장 편입)으로 개편 (충청북도 조례 제 2407호, 충청북도 규칙 제 2277호)
1997. 12. 02
- 농촌진흥원 청원군 오창면 괴정리로 이전
1997. 04. 03
- 음성시설채소(특화작목)시험장 준공
1996. 02. 13
- 농산물원종장 진흥원 편입(충청북도 규칙 제2148호)
1995. 04. 07
- 음성시설채소(특화작목)시험장 설치(충청북도 규칙 제2098호)
1994. 12. 09
- 단양마늘(특화작목)시험장 준공
1993. 12. 11
- 옥천시설포도(특화작목)시험장 준공
1992. 02
- 옥천시설포도(특화작목)시험장 설치 (충청북도 규칙 제1831호)
1992. 01
- 시험국에 1개 과(경영과) 증설및 특화작목시험장 1개소 신설 (대통령령 제13576호)
- 경영과, 작물과, 원예과, 식물환경과
1991. 01
- 시험국에 2개 계(농산물이용, 경영기획) 증설
1980~
1987. 09
- 시험국에 1개 과(경제작물과) 증설 (대통령령 제12243호)
1985. 08
- 제천출장소 개소
1985. 07
- 중원출장소 폐소
1900~1980
1972. 11
- 원예시험장 중부출장소를 인수하여 중원출장소로 명명(농링부령 제514호)
1970. 03
- 시험국에 작물과, 식물환경과 신설
1962. 03
- 충청북도농촌진흥원으로 개칭(법률 제1247호)
1957. 05
- 충청북도농사원으로 개칭(법률 제1039호)
1953. 03
- 충청북도농사원 설치조례 공포
1949. 01
- 충청북도농사기술원으로 개칭(대통령령 제45호)
1945. 08
- 충청북도농사기술원으로 개칭(대통령령 제45호)국립 농사시험장 청주지장으로 개칭
1944. 05
- 조선총독부농사시험장 이리지장 청주분장으로 개칭
1937. 01
- 청주시 복대동으로 이전
1935. 03
- 제천 시험지 설치
1923. 10
- 충청북도 농사시험장으로 개칭
1912. 05
- 충청북도 종묘장으로 개칭
1909. 05
- 충청북도 모범농장으로 창립

- 정보담당자
- 스마트원예연구과 > 데이터농업팀 > 김리나 (☎ 043-220-5583)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북도농업기술원이 소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