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종량
[표 1-1] 육묘방법별 알맞은 파종량 (중모, 비닐피복) (단위 : g/상자)
구분 | 소립종 | 중립종 | 대립종 |
---|---|---|---|
산 파 | 110 ~ 120 | 120 ~ 130 | 140 ~ 150 |
- 적정 파종량으로 건묘 육성 및 알맞은 주당 모수 심기
- 산파상자 한상자당 5,200립 파종 기준(성묘율 96% 기준)
- 못자리 설치시기는 25일묘 이앙 기준으로 설치
적기모내기
너무 일찍 모내기 할 경우
- 육묘할 때 냉해와 모내기 때 온도가 낮아 초기 생육지연 우려
- 영양생장기간이 길어 양분 및 물의 소모량이 많고, 후기 잡초 발생량이 많아 방제를 한 번 더 해야 함
- 무효분얼이 많아져 통풍이 잘 안되어 병해충의 발생이 늘어남
- 너무 일찍 심을 경우 고온기 등숙에 따른 호흡 증가로 양분소모가 많아 등숙이 불량하고 동할미가 많아 미질이 떨어짐
* 등숙 적정기온 : 20~22℃(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
지역 및 지대별 이앙적기
- 적기 이앙은 등숙기간의 조건을 결정하는 주 요인으로 쌀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표 1-2] 지역 및 지대별 최적 이앙기 (’02 ~ ’04, 작물원, 충북농업기술원)
지역 | 지 대 | 이앙적기(월.일) | 최적이앙기(월.일) | ||||
---|---|---|---|---|---|---|---|
조생종 | 중 생 | 중만생 | 조생 | 중생 | 중만생 | ||
중부 | 중북부내륙평야지(춘천,연천) | 6. 4 ~ 6.10 | 5.18 ~ 5.24 | 5.15 ~ 5.21 | 6. 7 | 5.21 | 5.18 |
중부평야지(수원,청원) | 6. 9 ~ 6.14 | 5.27 ~ 6. 2 | 5.15 ~ 5.21 | 6.12 | 5.30 | 5.18 | |
중산간지(제천) | 5.19 ~ 5.25 | 5. 8 ~ 5.14 | - | 5.22 | 5.11 | - |
※ 이앙적기 추정 : 완전미 수량을 위한 최적 출수기와 각 지역 지대별 대표 숙기별 품종의 출수생태 특성으로 산출

적정포기수 확보
- 평야지 1모작의 경우 재식거리 30×14~15cm에 포기당 3~4본 이앙이 알맞음
- 포기수가 많아지면 주간 경합이 증가하여 벼가 균일하게 생육하지 못함
[표 1-3] 지대별, 모작별 알맞은 포기수 및 포기당 모수
구분 | 포기수(개/3.3㎡) | 포기당 모수 (본) |
---|---|---|
산간고냉지, 늦심기 | 100 이상 | 6 ~ 7 |
중산간지, 영동지방 | 90 ~ 100 | 5 ~ 6 |
중간지, 보리뒷그루 | 80 ~ 90 | 4 ~ 5 |
평야지 1모작 | 70 ~ 80 | 3 ~ 4 |
채소 뒷그루 | 80 ~ 90 | 5 ~ 6 |
거름주기
질소시비량과 미질
- 질소시용량이 많으면 쌀의 심복백미와 불완전미가 증가하고 완전미가 감소하여 쌀의 외관 품질 저하
- 질소시비량이 많아지면 현미의 청미와 유백미 그리고 백미의 심복백미가 증가되어 쌀의 외관상 품위와 밥맛이 떨어짐
- 질소 시용량이 많아져도 쌀의 아밀로스 함량은 차이가 없으나,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고 Mg/K비가 감소되어 미질이 떨어짐
질소시비방법
- 시비량 결정 : 토양검정 실시후 시비량 추천
- 논 토양특성에 따라 시비량 가감하여 주기 : 건토효과 많은 논, 일조시간 적은 논, 냉해?침관수?도복 상습지 논은 질소 20~30% 줄여주고, 인산 · 칼리 20~30% 더 주기
[표 1-4] 알맞는 분시비율 (성분량 10a 기준)
구분 | 계 | 밑거름 | 웃거름 | ||||
---|---|---|---|---|---|---|---|
새끼칠거름 | 이삭거름 | ||||||
질 소 |
평야지논 중간지논 |
보통논 미숙논 |
제때모내기 늦모내기 |
9kg 8 |
4.5kg 6 |
2.7kg - |
1.8kg 2 |
모래논, 고논 | 9 | 4.5 | 2.7 | 1.8 | |||
중산간 및 냉조풍지논 산간고냉지논 만기재배논 |
9 9 9 |
4.5 7 7 |
2.7 2 - |
1.8 - 2 |
|||
인산 | 4.5 | 4.5 | - | - | |||
칼리 | 5.7 | 4.0 | - | 1.7 |
※ 비료 주는 시기 : 밑거름-전층시비, 새끼칠거름-모낸후 12~14일, 이삭거름-이삭패기 전 15일경
[표 1-5] 지역 및 지대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03 ~ ’04)
지역 | 지 대 | 적정 질소시비량(kg/10a) | 최적 질소 시비량(kg/10a) | ||||
---|---|---|---|---|---|---|---|
조 생 | 중 생 | 중만생 | 조 생 | 중 생 | 중만생 | ||
중부 | 중부평야지 | 7.7 ~ 11 | 7.7 ~ 10 | 8.3 ~ 10 | 9.5 | 8.9 | 9.1 |
중간지 | 8 ~ 9 | 10 | - | 8.5 | 10 | - | |
중산간지 | 9 | 9 | - | 9 | 9 | - |
※ 적정질소시비량 : 완전미 수량, 단백질 함량 등 품위 및 밥맛 요인 분석
물관리
관개효과
- 벼 재배에서의 관개효과는 양분공급, 온도조절, 잡초발생억제, 염류농도조절, 농약살포 효과증대 등
배수효과 : 벼의 생육기간 중 간단관수와 중간낙수 효과
- 토양중 각종 유기산의 배제
- 벼 뿌리에 산소공급으로 뿌리의 활력유지에 의한 양수분 흡수증대
- 뿌리의 심층분포와 지상부 조직의 강건으로 도복에 대한 저항성 증대 등
[표 1-6] 생육단계별 물 관리 방법
생육시기 | 물대는 요령 | 물깊이(㎝) | 효과 |
---|---|---|---|
이앙기 | 얕게 댈 것 | 2 ~ 3 | 모를 얕게 심어 모도복 경감 |
활착기 | 깊게 댈 것 | 5 ~ 7 | 식상경감, 증산억제, 활착촉진 |
분얼 성기 | 얕게 댈 것 | 2 ~ 3 | 분얼촉진 |
무효분얼기 | 중간물떼기(출수전40 ~ 30일) (5 ~ 10일간) | 0 | 무효분얼 억제, 유해물질 제거, 도복방지 |
수잉기 | 물걸러대기(출수전 30 ~ 출수기) (3일 관수, 2일 배수) | 2 ~ 4 | 뿌리기능 촉진, 유해물질 제거 촉진 |
출수기 | 보통으로 댈 것 | 3 ~ 4 | 꽃가루받이 촉진 |
등숙기 | 물 걸러대기 (3일 관수, 2일 배수) | 2 ~ 3 | 등숙양호, 뿌리기능 유지, 유해물질 제거 |
낙수기 | 완전물떼기(출수 30 ~ 35일 전후) | 0 | 품질 양호, 농작업 편리 |
※ 알맞는 물관리로 무효분얼 억제, 도복경감, 품질 향상
[표 1-7] 물떼는 시기에 따른 쌀의 외관품질
낙수시기 | 외관특성 | 쌀수량 (kg/10a) |
수확지수 | ||
---|---|---|---|---|---|
완전미 (%) | 청미 (%) | 미숙립 (%) | |||
출수기 | 45.4 | 1.0 | 11.9 | 501 | 91 |
출수후 10일 | 56.8 | 3.9 | 8.4 | 512 | 93 |
출수후 20일 | 68.9 | 10.1 | 3.0 | 528 | 96 |
출수후 30일 | 73.9 | 6.5 | 1.4 | 539 | 98 |
출수후 40일 | 74.1 | 6.4 | 1.3 | 550 | 100 |
중간낙수 + 출수후 40일 | 74.8 | 6.1 | 1.3 | 555 | 101 |
※ 물을 일찍 떼면 수량감소는 물론 청미, 미숙립 등 불완전립 증가로 완전미 비율이 감소되어 쌀의 품위가 떨어짐
※ 밥맛과 관련되는 아밀로스와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고 Mg/K 당량비도 감소되어 식미가 떨어짐
수확
-
품종의 숙기별 알맞은 수확시기
- 수확시기가 빠르거나 늦으면 완전미율 감소
- 조기수확 : 청미, 미숙립, 동할미 증가
- 만기수확 : 기형립, 피해립 증가
- 콤바인 만기수확 : 금간쌀 발생 증가
- 종자용은 알맞은 벼베기 때보다 약간 빠르게 수확
- 한 이삭의 벼알이 90% 이상 익었을 때 벼 베기 실시
- 수확적기는 출수후로부터 적산온도로 1150±50℃였으며 조생종은 50일 중생종은 54일, 만생종은 58일 내외이었음
[표 1-8] 지역별 최적 수확시기 (‘02 ~ ’04)
지역 및 지대 | 출수 후 일수 | ||
---|---|---|---|
조생종 | 중생종 | 중만생종 | |
중부평야지 | 50 (1,133) | 53 (1,102) | 57 (1,088) |
- 정보담당자
- 작물연구과 > 식량작물팀 > 김영상 (☎ 043-220-5551)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북도농업기술원이 소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