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생산재배기술

홈으로 > 농업기술정보 > 주요작물별 영농기술 > 벼 > 생산재배기술
  • 현재페이지 프린트
  • 현재 페이지 URL 복사

파종량

[표 1-1] 육묘방법별 알맞은 파종량 (중모, 비닐피복) (단위 : g/상자)
[표 1-1] 육묘방법별 알맞은 파종량 (중모, 비닐피복)
구분 소립종 중립종 대립종
산 파 110 ~ 120 120 ~ 130 140 ~ 150
  • 적정 파종량으로 건묘 육성 및 알맞은 주당 모수 심기
  • 산파상자 한상자당 5,200립 파종 기준(성묘율 96% 기준)
  • 못자리 설치시기는 25일묘 이앙 기준으로 설치

적기모내기

너무 일찍 모내기 할 경우

  • 육묘할 때 냉해와 모내기 때 온도가 낮아 초기 생육지연 우려
  • 영양생장기간이 길어 양분 및 물의 소모량이 많고, 후기 잡초 발생량이 많아 방제를 한 번 더 해야 함
  • 무효분얼이 많아져 통풍이 잘 안되어 병해충의 발생이 늘어남
  • 너무 일찍 심을 경우 고온기 등숙에 따른 호흡 증가로 양분소모가 많아 등숙이 불량하고 동할미가 많아 미질이 떨어짐
    * 등숙 적정기온 : 20~22℃(출수 후 40일간 평균기온)

지역 및 지대별 이앙적기

  • 적기 이앙은 등숙기간의 조건을 결정하는 주 요인으로 쌀 품질에 지대한 영향을 미침
[표 1-2] 지역 및 지대별 최적 이앙기 (’02 ~ ’04, 작물원, 충북농업기술원)
[표 1-2] 지역 및 지대별 최적 이앙기
지역 지 대 이앙적기(월.일) 최적이앙기(월.일)
조생종 중 생 중만생 조생 중생 중만생
중부 중북부내륙평야지(춘천,연천) 6. 4 ~ 6.10 5.18 ~ 5.24 5.15 ~ 5.21 6. 7 5.21 5.18
중부평야지(수원,청원) 6. 9 ~ 6.14 5.27 ~ 6. 2 5.15 ~ 5.21 6.12 5.30 5.18
중산간지(제천) 5.19 ~ 5.25 5. 8 ~ 5.14 - 5.22 5.11 -

※ 이앙적기 추정 : 완전미 수량을 위한 최적 출수기와 각 지역 지대별 대표 숙기별 품종의 출수생태 특성으로 산출

그림 1-1 이양시기와 완전미 수량 및 미질특성('02~'04, 작물원 및 7개 도원)

적정포기수 확보

  • 평야지 1모작의 경우 재식거리 30×14~15cm에 포기당 3~4본 이앙이 알맞음
  • 포기수가 많아지면 주간 경합이 증가하여 벼가 균일하게 생육하지 못함
[표 1-3] 지대별, 모작별 알맞은 포기수 및 포기당 모수
[표 1-3] 지대별, 모작별 알맞은 포기수 및 포기당 모수
구분 포기수(개/3.3㎡) 포기당 모수 (본)
산간고냉지, 늦심기 100 이상 6 ~ 7
중산간지, 영동지방 90 ~ 100 5 ~ 6
중간지, 보리뒷그루 80 ~ 90 4 ~ 5
평야지 1모작 70 ~ 80 3 ~ 4
채소 뒷그루 80 ~ 90 5 ~ 6

거름주기

질소시비량과 미질

  • 질소시용량이 많으면 쌀의 심복백미와 불완전미가 증가하고 완전미가 감소하여 쌀의 외관 품질 저하
  • 질소시비량이 많아지면 현미의 청미와 유백미 그리고 백미의 심복백미가 증가되어 쌀의 외관상 품위와 밥맛이 떨어짐
  • 질소 시용량이 많아져도 쌀의 아밀로스 함량은 차이가 없으나,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고 Mg/K비가 감소되어 미질이 떨어짐

질소시비방법

  • 시비량 결정 : 토양검정 실시후 시비량 추천
  • 논 토양특성에 따라 시비량 가감하여 주기 : 건토효과 많은 논, 일조시간 적은 논, 냉해?침관수?도복 상습지 논은 질소 20~30% 줄여주고, 인산 · 칼리 20~30% 더 주기
[표 1-4] 알맞는 분시비율 (성분량 10a 기준)
[표 1-4] 알맞는 분시비율 (성분량 10a 기준)
구분 밑거름 웃거름
새끼칠거름 이삭거름

평야지논
중간지논
보통논
미숙논
제때모내기
늦모내기
9kg
8
4.5kg
6
2.7kg
-
1.8kg
2
모래논, 고논 9 4.5 2.7 1.8
중산간 및 냉조풍지논
산간고냉지논
만기재배논
9
9
9
4.5
7
7
2.7
2
-
1.8
-
2
인산 4.5 4.5 - -
칼리 5.7 4.0 - 1.7

※ 비료 주는 시기 : 밑거름-전층시비, 새끼칠거름-모낸후 12~14일, 이삭거름-이삭패기 전 15일경

[표 1-5] 지역 및 지대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03 ~ ’04)
[표 1-5] 지역 및 지대별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지역 지 대 적정 질소시비량(kg/10a) 최적 질소 시비량(kg/10a)
조 생 중 생 중만생 조 생 중 생 중만생
중부 중부평야지 7.7 ~ 11 7.7 ~ 10 8.3 ~ 10 9.5 8.9 9.1
중간지 8 ~ 9 10 - 8.5 10 -
중산간지 9 9 - 9 9 -

※ 적정질소시비량 : 완전미 수량, 단백질 함량 등 품위 및 밥맛 요인 분석

물관리

관개효과

  • 벼 재배에서의 관개효과는 양분공급, 온도조절, 잡초발생억제, 염류농도조절, 농약살포 효과증대 등

배수효과 : 벼의 생육기간 중 간단관수와 중간낙수 효과

  • 토양중 각종 유기산의 배제
  • 벼 뿌리에 산소공급으로 뿌리의 활력유지에 의한 양수분 흡수증대
  • 뿌리의 심층분포와 지상부 조직의 강건으로 도복에 대한 저항성 증대 등
[표 1-6] 생육단계별 물 관리 방법
[표 1-6] 생육단계별 물 관리 방법
생육시기 물대는 요령 물깊이(㎝) 효과
이앙기 얕게 댈 것 2 ~ 3 모를 얕게 심어 모도복 경감
활착기 깊게 댈 것 5 ~ 7 식상경감, 증산억제, 활착촉진
분얼 성기 얕게 댈 것 2 ~ 3 분얼촉진
무효분얼기 중간물떼기(출수전40 ~ 30일) (5 ~ 10일간) 0 무효분얼 억제, 유해물질 제거, 도복방지
수잉기 물걸러대기(출수전 30 ~ 출수기) (3일 관수, 2일 배수) 2 ~ 4 뿌리기능 촉진, 유해물질 제거 촉진
출수기 보통으로 댈 것 3 ~ 4 꽃가루받이 촉진
등숙기 물 걸러대기 (3일 관수, 2일 배수) 2 ~ 3 등숙양호, 뿌리기능 유지, 유해물질 제거
낙수기 완전물떼기(출수 30 ~ 35일 전후) 0 품질 양호, 농작업 편리

※ 알맞는 물관리로 무효분얼 억제, 도복경감, 품질 향상

[표 1-7] 물떼는 시기에 따른 쌀의 외관품질
[표 1-7] 물떼는 시기에 따른 쌀의 외관품질
낙수시기 외관특성 쌀수량
(kg/10a)
수확지수
완전미 (%) 청미 (%) 미숙립 (%)
출수기 45.4 1.0 11.9 501 91
출수후 10일 56.8 3.9 8.4 512 93
출수후 20일 68.9 10.1 3.0 528 96
출수후 30일 73.9 6.5 1.4 539 98
출수후 40일 74.1 6.4 1.3 550 100
중간낙수 + 출수후 40일 74.8 6.1 1.3 555 101

※ 물을 일찍 떼면 수량감소는 물론 청미, 미숙립 등 불완전립 증가로 완전미 비율이 감소되어 쌀의 품위가 떨어짐
※ 밥맛과 관련되는 아밀로스와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고 Mg/K 당량비도 감소되어 식미가 떨어짐

수확

  • 품종의 숙기별 알맞은 수확시기
    • 수확시기가 빠르거나 늦으면 완전미율 감소
    • 조기수확 : 청미, 미숙립, 동할미 증가
    • 만기수확 : 기형립, 피해립 증가
    • 콤바인 만기수확 : 금간쌀 발생 증가
    • 종자용은 알맞은 벼베기 때보다 약간 빠르게 수확
    • 한 이삭의 벼알이 90% 이상 익었을 때 벼 베기 실시
  • 수확적기는 출수후로부터 적산온도로 1150±50℃였으며 조생종은 50일 중생종은 54일, 만생종은 58일 내외이었음
[표 1-8] 지역별 최적 수확시기 (‘02 ~ ’04)
[표 1-8] 지역별 최적 수확시기
지역 및 지대 출수 후 일수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
중부평야지 50 (1,133) 53 (1,102) 57 (1,088)
정보담당자
작물연구과 > 식량작물팀 > 김영상 (☎ 043-220-5551)

※ 이 페이지에 대한 저작권은 충청북도농업기술원이 소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