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의 내용을 클릭하시면, 해당페이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 최근 영동군 지역을 중심으로 갈색여치 대발생(2006, 2007년)
- 산림인근 농경지 피해발생(복숭아, 사과, 자두, 포도 등)
갈색여치란
- 분류학적 위치: 메뚜기목, 여치과
- 학명: 갈색여치(=긴어리여치=팔공여치) Paratlanticus ussuriensis (Uvarov)
- 섭식: 잡식성
- 월동: 알 상태로 땅속에서 월동
- 분포: 우리나라, 중국, 러시아
형태
- 갈색여치 성충의 몸길이는 3~4cm 정도이고, 몸은 전체적으로 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배의 아랫부분은 밝은 녹색이다.
- 날개는 퇴화되어 축소되었으며, 성숙한 개체의 앞날개는 앞가슴 길이와 비슷하고, 뒷날개는 더 짧다.
- 암컷의 산란관은 길고(2.5~3.0cm), 아래쪽으로 약간 휘어져 있다.
- 더듬이는 암컷(8.0~8.5cm)이 수컷(6.8~7.6mm)보다 길다.
- 강력한 뒷다리를 갖고 있으며, 점핑하기에 수월하다.
발생생태
- 1년에 1회 발생한다. 알로 월동하며, 약충은 4~6월, 성충은 7~8월에 출현한다.
- 7~8월에 산란된 알은 휴면알로 다음해 봄에 부화한다.
- 알은 땅속에 산란하며, 암컷한마리가 90~100개정도 산란한다.
피해증상
- 야산에 인접한 복숭아, 자두, 포도, 사과원에 대량 출현하며, 한나무에 수십 마리씩 모여서 주로 과실을 갉아 먹는다.
- 성충은 동식물성 먹이를 가리지 않는 잡식성이며, 강력한 저작력을 지녀 봉지를 씌운 과실까지 가해한다.
- 피해가 심한 과원은 야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참나무 등 활엽수가 많은 지대에서 피해가 심하다.
방제법
- 아래 약제들은 갈색여치에 효과가 있으므로, 반드시 적용작물에 등록된 약제를 살포한다.
- 천연재료 이용 방제 : 막걸리+어분으로 갈색여치 유인 후 포살
방제법
등록약제 |
제형 |
살충율 |
적용작물 |
일반명 |
상표명 |
페니트로티온 |
스미치온, 메프치온, 경농메프, 새메프, 메프 |
수화제 |
100 |
사과, 포도, 배 |
펜토에이트 |
엘산, 씨디알, 동부(경농, 서한, 영일)파프 |
유제 |
100 |
사과 |
다이아지논 + 에토펜프록스 |
뚝심 |
수화제 |
100 |
사과, 복숭아, 포도 |
크로르피리포스 + 알파싸이퍼메스린 |
강타자, 진굴탄 |
유제 |
100 |
사과, 배 |
- 복숭아주스 > 막걸리+어분 > 어분 > 막걸리 순으로 갈색여치 유인
- 친환경복숭아원에서 갈색여치 방제
- 갈색여치의 적용약제인 다이아지논+에토펜프록스(뚝심), 페니트로티온을 갈색여치 약충이 과원으로 들어오기 직전인 5월 1일, 5월 8일에 구릉지나 야산으로 약제를 살포
- 5월 하순이후에 발생되는 갈색여치는 유인물질(복숭아 쥬스)과 유인트랩을 이용하여 방제
↓ 아래의 내용을 클릭하시면, 해당페이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꽃매미란?
- 학명 : Lycorma delicatula
- 분류학 : 매미목 꽃매미과
- 영명 : spot clothing wax cicada
- 중국명 : 樗鷄(저계), 斑衣(반의사선)
- 분포 : 중국, 인도, 베트남 등
생태적 특징
발생생태
- 발생: 년 1회
- 월동태: 알
- 탈피횟수: 4회
- 부화시기: 5월 상중순
- 약충기간: 5월상중순 ~ 7월중 순
- 성충출현시기: 7월중순 ~ 11월 상순
각태별 모습
피해증상
- 꽃매미는 긴 입을 나무줄기에 꽂아 즙액을 빨아먹는다.
- 가해나무 : 양다래, 붉나무, 옷나무, 두릅나무, 땃두릅나무, 박주가리, 산오리나무, 자작나무, 우성, 갈찰나무, 가래나무, 흑호두나무, 호두나무, 중국굴피나무, 다릅나무, 일본목련, 목련, 유럽참죽나무, 참죽나무, 호주참죽나무, 뽕나무, 산뽕나무, 장미, 찔레나무, 해당화, 산딸기나무, 마가목, 쉬땅나무, 쉬나무, 황벽나무, 물황철나무, 고광나무, 소태나무, 가죽나무, 벽오동,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구릿대, 미국담쟁이덩굴, 머루, 포도(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과)
- 꽃매미는 많은 양의 감로를 분비하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검게 되고 그 위에 곰팡이가 피는 경우도 생긴다. 그로인해 포도잎, 포도송이와 송이봉지를 지저분하게 만들어 상품가치를 떨어뜨린다.
방제법
- 현재 등록된 농약은 페니트리치온 수화제, 람다싸이할로스린·티아메톡삼 수용성입제가 있다.
- 꽃매미는 나무줄기를 기어오르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나무밑둥에 끈끈이나 접착제를 설치해 방제할 수 있다.
- 11월에 줄기에 붙은 알을 제거해 주면 다음해 발생양이 줄어 든다.
- 포도원에서 꽃매미 방제적기는 누적부화율 50%(꽃매미 부화 시작 후 3일), 95% 시기(꽃매미 부화 시작 후 10일)인 5월 중.하순경 2회 약제살포하고, 3차 방제는 산란 시작 시기인 9월 하순에 방제함
↓ 아래의 내용을 클릭하시면, 해당페이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분류학적 위치
- 학명: Metcalfa pruinosa (Say) (미국선녀벌레)
- 우리나라에서 검역해충(관리급)으로 취급하고 있는 외래해충
발견경위
-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대회에 포스터 발표논문 (2009. 10. 28, 서울대학교)
- 경남지역 단감원에서 미국선녀벌레 발생 및 피해 보고 (경남도원, 2009. 11. 17)
- 충북지역에서 미국선녀벌레 발생 및 피해 확인 요청 (음성농업기술센터, 2010. 8. 2)
충북 발생현황 및 전망
미국선녀벌레 발생이 확인된 면적 : 28ha
-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 농경지(배) 및 인근야산 15ha
- 청원군 오창면 화산리 : 야산(아카시아) 10ha
- 단양군 영춘면 유암2리 : 농경지(콩) 및 야산 3ha
음성IC 근처에서 미국선녀벌레 발생 밀도가 높아 고속도로 주변으로 확산이 우려 됨
- 도내 고속도로 휴게소 및 IC주변을 정밀 예찰 요망
분포지역 및 형태
-
분포 : 원산지는 북미대륙, 1979년에 유럽(남부) 침입
※ 현재까지 국내분포 : 서울 서초(우면산), 수원, 경남 김해, 충북 음성, 진천, 청원, 충주 지역에 대발생되어 피해가 확산되고 있음.
- 형태 : 국내에 분포하는 선녀벌레(Geisha distinctissima)와 봉화선녀벌레(Minophantia maritima)와 형태적으로 뚜렷히 구별됨
발생생태 및 피해증상
-
발생생태
- 1년에 1회 발생하며, 기주의 나뭇가지 틈에서 알로 월동함
- 월동알은 4월경 부화하며, 5령 약충을 거쳐 60~70일후 성충이 됨
-
피해증상
- 약충과 성충이 기주식물을 흡즙하여 직접적인 피해를 주고 왁스물질과 감로를 분비하여 2차적으로 그을음병을 유발함
- 광식성으로서 북중미, 유럽 등에서 밤나무, 돼지풀, 맥문동, 병꽃나무, 국수나무, 관중 등 120여종의 기주식물이 보고됨
- 포도, 사과, 배, 단감, 감귤 등 과수류, 고추, 오이, 딸기 등 과채류, 단풍나무, 느릅나무 등 산림에 피해가 보고되어 있음
방제약제 선발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살충제의 약효
- 시험약제 : 메프, 파프 등 15약제
미국선녀벌레 성충에 100%의 살충율을 보인 약제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살충제의 약효
시험약제 |
제형 |
기타 |
일반명 |
상표명 |
메프 |
스미치온, 메프치온, 경농메프, 새메프, 메프 |
유제, 수화제 |
유기인계 |
파프 |
엘산, 씨디알, 동부(경농, 서한, 영일)파프 |
유제 |
〃 |
디디브이피 |
삼공, 경농, 정밀, 동부, 미성, 서한디디브이피 |
유제 |
〃 |
메티온 |
수프라사이드, 명궁, 수프라티온 |
유제 |
〃 |
펜티온 |
리바이짓드 |
유제 |
〃 |
알파사이퍼메스린 |
알파스린 |
유제 |
합성피레스로이드계 |
델타린 |
데시스, 델타린, 장원, 에스엠델타린 |
유제 |
〃 |
아세타미프리드 |
모스피란 |
수화제 |
네오니코티노이드계 |
이미다클로프리드 |
코니도 |
액상수화제 |
〃 |
티아메톡삼 |
아타라 |
입상수화제 |
〃 |
클로티아니딘 |
빅카드 |
액상수화제 |
〃 |
금후대책
충북도내 분포조사 및 확산저지 대책 수립
- 미국선녀벌레 기동예찰을 기술보급과와 공동으로 수행
- 돌발해충 전국예찰망 구축사업과 병행하여 수행
방제약제 선발 및 방제체계 수립
- 선녀벌레에 우수한 약효를 보이는 약제 선발 및 방제법 개발
- 천적을 통한 생물학적 방제 추진